AI-Study

시계열 데이터를 위한 LSTM 이해하기

황소의일격 2024. 10. 15. 14:55

LSTM (Long Short Term Memory)

[ LSTM Cell들의 연결 ]

 

 

[ LSTM 의 Cell 하나의 구조 ]

 

C값이 컨베이어 벨트처럼 흐르는 Cell state이며, LSTM은 이러한 Cell state를 보호하고 컨트롤 하기 위한 세 가지 게이트: forget, input, output gate를 통해 vanishing gradientexploding을 방지하고 그래디언트가 효과적으로 흐를 수 있게 함.

 

 

 

(케라스 창시자에게 배우는 딥러닝, 2017)
프랑소와 숄레는 LSTM을 설명하면서 상태 정보에 대한 새로운 이동 상태 계산으로 표현했다.

(Neural networks and deep learning by Aurélien Géron, 2018)
『핸즈온 머신러닝』의 저자 오렐리앙 제롱이 이후에 딥러닝 책을 eBook으로 출간했는데, 여기에서 LSTM의 내부 구조를 FC 모음(1개의 tanh FC와 3개의 Sigmoid FC)으로 표현함으로써 Forget gate, Input gate, Output gate의 게이트 구조로 보다 직관적으로 표현해냈다.

 

 

[유투브] Sequence Data를 위한 RNN & LSTM 이해하기

- 16분 39초만 투자 합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SoNtAjxA3Jo

 

[유투브] LSTM 쉽게 이해하기

- 09분 19초만 투자 합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bX6GLbpw-A4

 

[유투브] AI로 삼성전자의 주가를 예측해보자 (with LSTM)

- 개념 잡기 좋아요. 반드시 보세요.

- 11분 08초만 투자 합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yZoHlkCbNoM

 

 

 

 

[ AI 관련 알아야 할 내용 ]

(1) Ensemble AI Model 4가지 & 특징 : https://dev-sites.tistory.com/61

(2) Confusion Matrix : Measure(Metric)의 기본

   [       ] 양성  [       ] 음성
[       ] 양성 ? ?
[       ] 음성 ? ?

(3) Precision = ?

(4) Recall = ?

(5) Accuracy = ?

(6) mAP = ?

(7) F1-Score = ?

 

정답 : https://dev-sites.tistory.com/62

 

AI 딥러닝 관련 유투브 강좌
https://dev-sites.tistory.com/51

 

MLOPS 관련 유투브 강좌

https://dev-sites.tistory.com/89

 

생성형AI 관련 유투브 강좌

https://dev-sites.tistory.com/95

 

Human Pose Estimation 기술
https://dev-sites.tistory.com/96

 

 

 

 

 

 

 

[알아둘 상식 퀴즈] : 경제 상식

  • [    1    ](GDP: Gross Domestic Product)은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서비스부가가치[    2    ]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국가의 경제 규모와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기에 경제 성장률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것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청신호라고 생각해보면 좋다. 따라서 이러한 데이터의 변화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앞으로의 전망을 파악하는 데 활용해야 한다.
  • [    3    ]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으로 통화 공급의 [    4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때 생긴다. 이것이 높아지면 소비자의 구매력이 감소하여 생활비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예산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데이터나 값을 유의 깊게 살펴보고 자신의 소비 패턴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