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의자 : Inostudy
- 강의순서 : 뒤에서 부터 공부하면 됨
- 사이트 :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FmsaABRo1n3znsXhRU4i4-uxy8GQe_4K
GCP
Google Cloud Platform을 배울 수 있습니다.
www.youtube.com
- Google Cloud Platform(GCP) - 자격증 시험 예약 가이드
- Google Compute Engine 개요
- Google Compute Engine Instance 생성
- Google Compute Engine 기능
- Google Compute Engine 연결 및 웹서버 생성
- Google Compute Engine Snapshot
- Google Compute Engine - Instance Templates
- Google Compute Engine - Custom Image
- Google Kubernetes Cluster 생성
[쿠버네티스 개념]
전체 구조 : Mater Node(1,홀수) + Worker Nodes(n)
Master Node : 쿠버네티스의 세부 컨테이너를 컨트롤 하기 위한 다양한 설정 기능 및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음
- 마스터 노드는 클러스터 전체를 관리
- 해당 그림에서 마스터 노드는 한 개로 나와 있지만 워커 노드의 수에 따라 3~7개 까지 정도로 달라지며 반드시 홀수
- 이유는 클러스터를 관리할 때 상태값에 대한 합의를 진행하는데 짝수인경우 합의가 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
- 애플리케이션이 직접 실행되는 노드가 아님. 애플리케니션은 각 워커노드에서 실행
- API Server : HTTP를 통해 내부 및 외부 인터페이스 제공
- Scheduler : 각 노드에서 리소스 사용률을 추적하여 Pod가 실행되는 노드를 선택
- Controller-Manager : 개체 모니터링 및 배포 정책 및 Scale in/out 수행
Worker Node : Pod라고 하는 세부 컨테이너들이 실행되고 있음
- 마스터 노드의 관리를 받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노드
- 개수의 제한은 없지만 쿠버네티스(Kubernetes)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플러그인에 따라 수백에서 수천개까지 워커노드의 수가 제한됨
- Kubelet : 노드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Pod Spec에 정의된 상태로 컨테이너의 수행을 확인 및 유지
- Kube-Proxy : Pod가 다른 Pod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프록시와 로드 밸러서 기능을 제공
- Pod : 실행되는 컨테이너
사용자는 쿠버네티스에 kubectl이라는 명령어를 통해서 지시를 내림
[알아둘 상식 퀴즈]
순우리말 퀴즈 ~
( 1 ): 비상하다. 날아오르다.
( 2 ): 갓난아기가 팔을 머리 위로 벌리고 편히 자는 잠
( 3 ): 날개의 순우리말
( 4 ): 아이가 별탈없이 자라는 모습
( 5 ): 형제, 자매 사이의 우애와 정
( 6 ): 종달새의 순우리말
( 7 ): 세상의 중심
( 8 ): 우산의 순우리말
( 9 ): 중도에서 성의 없이 그만두는 모양
[주관식]
댓글에 올려 놓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__)
[클라우드 플랫폼을 공부할 때 알아야 기본]
[클라우드 서비스의 구분]
[설명]
반응형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라이빗 클라우드 구축 관련 강좌 모음 (2) | 2022.12.01 |
---|---|
[토크ON세미나] MS Azure 기반의 클라우드 서버 구축 방법(유투부 강좌) (12) | 2021.05.07 |
[온라인 무료 교육]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OCR 활용법 소개(유투브 강좌) (5) | 2021.05.04 |
AWS 클라우드 아키택처 진화하기 (유투브 강좌) (46분 강좌) (5) | 2021.05.02 |
AWS 클라우드 개념 빠르게 이해하기(유투브 강좌)(1시간만에 끝내자) (5) | 2021.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