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 유투브 강의 모음
생성형 AI : 영어로 Generative AI이다. 생성형 AI란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 등의 기존 콘텐츠를 활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새로 만들어내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단순히 콘텐츠의 패턴을 학습하여 추론 결과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것을 넘어 콘텐츠의 생성자와 만들어진 콘텐츠를 평가하는 판별자가 끊임없이 서로 대립하고 경쟁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해 내는 기술이다.
ChatGPT의 핵심개념인 '생성형 AI'를 쉽게 이해시켜드립니다ㅣ서울대 AI박사 (LLM, NLP)
https://www.youtube.com/watch?v=3dEzMRL5VMk
챗GPT로 촉발된 생성형 AI 시대! 개념, 기술, 그리고 플랫폼 총정리ㅣ [REAL SUMMIT 2023] AI & Data 트랙 1-2. 장원진 상무
https://www.youtube.com/watch?v=ndHo5SBojbc
계속 추가중 ...
[알아둘 상식 퀴즈]
디지털 트윈의 기본 개념은 2002년에 미국 ( 1 ) 박사가 ( 2 )의 이상적 모델로 설명하면서 등장했다. 이 개념에 대해 NASA의 ( 3 ) 박사가 디지털 트윈으로 이름을 붙였고, 2010년 NASA가 우주 탐사 기술 개발 로드맵에 "디지털 트윈"을 반영하면서 우주산업에서 계속 쓰여 왔다. 우주 탐사에서는 쌍둥이 개념이 오래 전부터 쓰였는데, 그때는 가상 세계에 가상적 쌍둥이 모델을 만들 수 있을 만한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실제로 물리적 쌍둥이를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2017년 12월에 러시아에서 개봉한 스테이션 7 영화는 살류트 7호 우주선이 우주에 서 사고를 당한 후에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것인데, 지상에 있는 살류트 7호 실물 쌍둥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대처 방법을 찾는 장면이 나온다. 미국에서도 1970년 4월에 발사된 아폴로 13호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상의 실물 쌍둥이를 활용하여 문제 해결책을 찾았다. 이처럼 같은 모습과 같은 동작과 기능을 하는 쌍둥이의 존재는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필요성이 인정되어 왔던 것이다. 지금은 컴퓨팅 기술들의 발전으로 가상 모델을 만들고 가상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실물 쌍둥이는 더 이상 필요가 없게 된 상황이다.
[주관식]
댓글에 올려 놓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__)
[ 퀴즈 ]
(1) Ensemble AI Model 4가지 & 특징 : https://dev-sites.tistory.com/61
(2) Confusion Matrix : Measure(Metric)의 기본
[ ] 양성 | [ ] 음성 | |
[ ] 양성 | ? | ? |
[ ] 음성 | ? | ? |
(3) Precision = ?
(4) Recall = ?
(5) Accuracy = ?
(6) mAP = ?
(7) F1-Score = ?
AI 딥러닝 관련 유투브 강좌
https://dev-sites.tistory.com/51
MLOPS 관련 유투브 강좌
https://dev-sites.tistory.com/89